[회계] 비유동부채, 퇴직급여충당부채
*Review* 충당부채 - 미래의 지출시기 또는 금액은 불확실함 - 과거사건이나 거래의 결과로 현재의무 - 의무 이행으로 자원의 유출가능성 매우 높음 - 그 금액을 신뢰성있게 추정이 가능해야함. VS 우발자산, 우발부채 우발자산 - 우발자산은 자산으로 인식하지 아니한다. - 자원의 유입가능성이 매우 높은 경우에는 주석으로 기재. 우발부채 - 우발부채는 부채로 인식하지 아니한다. - 자원이 유츌될 가능성이 아주 낮지 않는 한 주석으로 기재. 충당부채 종류 - 퇴직급여충당부채 - 판매보증충당부채 - 하자보수충당부채 퇴직급여충당부채를 알아보기 전에 대손회계처리를 다시 한 번 REVIEW 해보자. 대손회계처리 차) 외상매출금 10,000,000원 대) 제품매출 10,000,000원 대손충당금 설정 대손 예상금..
Wisdom/회계
2022. 11. 2. 21:4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