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회계] 자본조달 방식, 유상증자, 무상증자, 감자, 주식소각
자본조달 방식 - 은행차입 - 회사채 발행 - 유상증자 - 내부자금 조달 유상증자 일반적으로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 투자자들은 부정적으로 생각한다. 지만 유상증자는 기업이 어떤 목적으로 자금을 조달하는가에 따라 다르게 해석해야한다. 기업이 설비투자를 위해 유상증자를 하면 호재로 볼 수 있다. 왜냐하면, 기업이 적극적으로 설비투자를 할 경우 미래에 매출 증가를 기대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. 반면, 운영자금 확보를 위해서 유상증자를 한다면 긍정적으로 볼 수 없다. 운영자금은 설비투자와는 달리 현재 상황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소모성 자금이다. 유상증자에는 3가지 방식이 있다. - 구주주 우선 배정: 가장 일반적인 방식으로 기존 주주를 상대로 신주를 배정한다. - 제3자 배정: 회사의 임원, 종업원, 거래선 등 연..
Wisdom/회계
2022. 12. 24. 23:58